|
 |
|
▲ 이지민 기자 |
2001년, 미국의 심장을 상징하는 뉴욕의 쌍둥이 빌딩이 무너졌다. 맨해튼은 울부짖고 피 흘리는 사람들로 채워진 생지옥이었다. 현장을 지휘하던 수장은 대통령이나 장관이 아니었다. 세계무역센터가 포함된 맨해튼의 9개 블록을 관할하는 ‘소방서장’이었다. 현장을 방문한 대통령, 뉴욕시장 등 고위 관료들은 소방서장의 일사불란한 지휘를 구석에서 지켜보는 신세였다. 우리 사회의 리더란 과연 누구인가를 묻게 한 세월호 사태 수습과 대비되는 장면이다. 당시 사태를 수습할 범부처사고대책본부는 안전행정부, 해양수산부 등 11개 부처로 구성되었고, 본부장은 정홍원 총리가 맡았다. 재난 전문가 대신 행정부 수장이 현장을 통솔하는 모순이 벌어졌다. 대통령에게 ‘보여드릴’ 화면 때문에 시간을 낭비했던 비극은 이러한 뒤틀린 시스템과 무관치 않다.
리더십의 성격을 묻기 전에 자격 있는 사람을 직급에 구애받지 않고 리더로 앉히는 사회 분위기가 필요하다. 현재 ‘리더’의 의미는 곧 직급으로 곡해되어 쓰이고 있다. 철저한 서열문화와 상명하복의 질서가 견고하게 뒷받침하면서다. 세월호 참사에서 여실히 드러났듯 관료들의 의전문화는 전문성 있는 사람이 그에 맞는 권한을 가지지 못하게 방해한다. 위급상황을 더 잘 알고, 해결할 능력이 있는 사람에게 힘이 실리지 않는다. 직급 높은 윗분들 챙기기에 바쁘다. 지난 2일 메르스 관련 관계부처 장관회의 결과를 발표하는 자리에서도 마찬가지였다. 문형표 장관이 기자들과 질의응답을 할 동안 공무원 1명이 30분 넘게 엘리베이터를 붙잡고 있었다. 장관이 브리핑을 마치고 집무실로 바로 ‘올라가실’ 수 있게 하기 위함이었다. 다른 공무원들은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데 불편을 겪어야 했다. 무능하면서 서열만 높은 사람들이 상황을 더욱 악화시킨다. 권한이 엉뚱한 데 쏠려 있어 위기를 타개하는 데 집중이 어려워진다. 제 아무리 좋은 자질을 갖춘 사람이더라도, 지금처럼 ‘급’이 자격보다 더 중요하다면 리더는 리더일 수 없다. |